본문 바로가기

자전거 이야기/자전거 정비

자전거 정비교육 6일차

반응형
자전거 정비교육 6일차

주말동안 쉬고 학원에 가려니 몸이 무거웠다. 그래도 날씨가 좋아 기분좋게 학원으로 향했다. 6일차 오전시간은 자난주 금요일에 실습했던 자전거 분해 조립을 이어서 했다. 실습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아 점심시간이 왔다. 실습 시간은 시간이 빨리간다. 오후시간도 마찬가지로 실습시간으로 보냈다. 실습하는 중간 중간에 이론수업도 진행됐다. 6일차는 조립만 했다고 보면 된다.
학원 수업이 끝나고 고시원으로 향하는 길에 태양이가 맛있는것을 사준다고 하길레 어제 태현이가 추천해준 마포만두 가게가 생각났다. 마침 고시원에서도 가까워 저녁을 만두로 먹기로 했다. 가게 안에는 사람들도 많고 연예인들의 싸인도 많았다. 메뉴중에는 갈비만두가 있었다. 주문한 만두가 나오고 기대심에 가득차 만두를 삼켰다. 먹고나서 하는 말이지만 갈비만두는 갈비맛이고 나머지는 그냥 만두였다. 맛있게 만두를 막었지만 생각보다 적은양? 비싼가격에 혀를 내두르고 다음 행성지로 향했다. 다음행선지는 토요일에 방문한 자전거나라였다. 태양이가 자전거 구매를 고민하고 있어 샵 구경도 하고 상담도 받을겸 겸사겸사 매장으로 들어갔다. 사람이 북적였던 토요일과 대비해 사람이 없었다. 전형적인 겨울의 자전거 샵이었다. 덕분에(?) 여유롭게 매장안을 거닐었다. 10분쯤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구경을 하고 있다가 직원 한명이 다가왔다. 직원이 무엇을 찾느냐며 따라 다니는것이 부담스럽게 느껴졌는데 10분동안 손님을 기다리다 말을 건낸 것 같았다. 마침 궁금한 것이 있어 직원에게 물어볼 참이었다. 샵으로 오는길에 매장 직원이 손님을 대할 때 단지 자전거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태도를 보일지 올바른 자전거 구매를 도와줄지 궁금했다. 태양이가 고민하던 내용을 말하자 직원은 능숙하고 유창하게 상담을 해나갔다. 직원은 태양이가 무리한 구매를 하지 않도록 합리적인 자전거 구매를 유도했다. 무리한 제품 추천도 없었거니와 형편에 맞는 구매를 안내했다. 또 계속되는 질문에도 귀찮은 기색 없이 하나하나 친절하고 자세하게 답해 주었다. 연륜에서 나오는 경험담과 전문적인 지식들로 하여금 올바른 자전거 구매 비법을 전수 받는 느낌이었다. 20여분 간의 긴 상담을 끝나고 매장밖으로 나온 태양이와 나는 상담을 했던 직원에게 감사와 존경심을 표현했다. 자전거에 대한 지식도 부러웠지만 고객을 대하는 자세는 두고 두고 배울만한 것이었다. 서울의 자전거 매장에 대한 서비스 질에 감탄하며 마트쇼핑을 한 뒤 고시원으로 돌아왔다.


배운 내용!

강의책 40쪽~43쪽, 
Part3. 부품 마모도 체크, Part5. 프레임 얼라인먼트


Part3. 부품 마모도 체크

1. 체인 체크
체인을 일정기간 사용하면 체인의 링크들이 늘어나면서 유격 또는 기능상의 이상 증상 등이 나타나며 스프로킷과 크랭크, 체인 링에도 영향을 미쳐 마모율이 빨라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체인의 교환 주기는 체인 체커기로 체크했을 때, 0.75mm 이상의 유격이 생겼을 때이다. 체인 체커기는 파크툴 cc-2 체커기와 롤로프 캘리퍼 2 체커기가 있다.

*체인, 스프로킷, 체인링 교체 시기
체인을 2번 교체하고 3번째 교체시 스프라켓 1개를 교체할 시기가 된다.
스프라켓을 2번 교체하고 3번째 교체시 체인링 1개를 교체할 시기가 된다.

체인의 교체시기가 지나면 허브와 프레임에 손상을 발생시킬 서 있다.

2. 스프로킷 체크
스프로킷 마모는  롤로프 스프로킷 체커기로 체크항 수 있다.
체인링이 마모했을 경우, 페달링시 체인이 말려 올라오능 서킹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는 체인링을 교체해 주어야 한다.


Part5. 프레임 얼라인먼트

1. 프레임 측정과 교정
프레임 측정 공구, 프레임 얼라언트 게이지
시트 스테이와 체인 스테이 교정 도구, 프레임 스트레인
드롭아웃 측정과 교정, 드롭아웃 얼라이 먼트 게이지

2. 행어 얼라이먼트 게이지
행어가 휜 채로 자전거를 타게 되면 변속기의 변속이 되지 않거나 소음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에는 변속기가 뒷바퀴 속으로 말려 들어가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려면 행어를 교정해 주어야 한다.

*행어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하는 현상과 교정 전 숙지사항
1. 특정 단수에서만 문제가 발생(소음이나 변속이 안되는 문제)
2. 바퀴의 장착, 허브의 유격, 림의 휨 등을 확인 한 후 교정
3. 올바른 공구 장착이 중요! 행어에 공구 장착시 나사산 파손 위험이 가장 큼!

행어 교정
행어 교정은 바퀴의 원주를 기준으로 하여 12시, 6시, 9시, 4~5시 방향 순으로 교정한다.
12~6시 방향은 행어가 바퀴 쪽으로 밀려 들어갔는지 또는 반대로 나왔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이다.

1) 먼저 게이지를 12시 방향으로 하고 게이지 고정 볼트를 풀어 게이지가 림(림의 가장 튀어 나와있는 부분)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밀어준다.
2) 게이지가 밀착됐으면 게이지 고정 볼트를 잠가 게이지를 고정시킨다.
3) 게이지를 6시 방향으로 하여 게이지의 끝과 림의 간격을 확인한다,
4) 만약 게이지가 림 안쪽에 걸려 더 이상 림의 표면 쪽으로 내려가지 못한다면 행어가 안쪽으로 밀려들어간 것이다.
*이 때 바로 교정을 하지 말고 다시 한번 6시 방향에서 게이지를 고정 시킨후 12시 방향으로 옮겨 게이지와 림의 간격을 확인한다. 12시와 6시 양쪽 모두 측정한 뒤 교정한다.
5) 교정을 하기 위해 게이지의 샤프터를 손으로 잡고 조금씩 잡아당겨 행어를 교정한다.
*샤프터를 한 번에 잡아당기면 행어가 파손 될 수 있다.
*교정시 게이지를 바퀴 안쪽(스포크쪽)으로 옮긴다. 게이지가 림에 부딪혀 파손될 수 있다.
6) 1차 교정을 했다면 다시 게이지를 12시 방향으로 하고 게이지와 림의 간격을 확인한다. 게이지가 림에 걸려 올라가지 않는다면 행어가 조금 교정된 것이다.
7) 게이지 고정 볼트를 풀어 게이지를 다시 림에 밀착시켜 고정한 후 다시 6시 방향으로 게이지를 위치시켜 교정을 확인한다. 이렇게 반복 작업을 통해 행어를 조금씩 교정해 나간다.
8) 9시에서 4~5시 방향(체인스테이 아래 림), 역시 같은 방법으로 교정한다. 9시에서 4~5시 방향은 행어가 틀어진 것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행어 교정시 주의할 점은 한 번에 많은 범위를 교정하려고 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또한 겨울철에 행어가 휘었다면 실내로 들어와 냉기가 가신 다음에 교정을 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밖에서 바로 하게 되면 행어가 얼어 있어 부러지게 된다.


유용했던 것. 좋았던 점. 꼭 기억해야할 것!

모든 정비의 기초는 부속품의 제자리 장착이다!

*헤드셋 하단 베어링의 미장착
림브레이크의 역방향 드레일러를 가진 첼로 프레임의 자전거를 분해 조립했을때 미처 확인하지 못한 부속품이 있었다. 바로 헤드셋의 베어링이었다. 당시 상단 베어링만 끼우고 하단 베어링을 끼우지 않고 조립한 것이다. 헤드셋의 유격이 유독 심하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유가 바로 베어링이 미장착 됐기 때문이다. 미장착된 베어링의 공간 만큼 유격이 생긴것이었다. 헤드셋 아래 베어링의 존재에 대해 까맣게 잊고 있었다. 분명 수업시간에 헤드셋의 상하단에 베어링이 장착된다고 배웠건만 눈에 보이는 상단 베어링만 확인하고 하단 베어링에 대해서는 신경도 쓰지 못했다. 그래도 다행히 일주일만에(?) 하단 베어링 미장착에 대해 알게 되었고, 우리 작업 테이블이 아닌(?) 옆테이블의 구석에서 외로이 방치된 베어링을 찾았다. 베어링에 그리스를 선물하고 제자리에 장착하자 그놈의 미세하다고 생각했던 헤드셋 유격은 말끔히 사라졌다. 아니 하단 베어링이 제자리를 찾아 제 일을 한 것이다. 모든 정비의 기초는 부속품의 제자리 장착에서 시작된다.

*케이블 미고정
변속기 세팅의 어려움으로 피곤이 몰려 오고 있었다. 주 문제는 변속 레버의 움직임에 변속기가 무딘 반응을 한다는 것이었다. 5분정도 해매고 있다가 변속기 케이블을 다시 끼우기 위해 변속기의 고정볼트를 살펴봤다. 
아,,, 이런 엠병,,,
케이블이 고정볼트의 케이블 자리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옆길에 끼어있었다. 즉 고정되어 있지 않은것이다. 허투로 조립을 한것이다. 쯪쯪쯪,,,
사태를 파악하고 기어를 풀어 놓은 후, 고정볼트의 케이블 자리에 확실하게 케이블을 위치시킨 후 볼트를 돌렸다. 변속기의 무딘 반응은 없어지고 변속 레버의 변속에 따라 변속기가 제대로 작동됐다. 고정이 되어야 할 자리에 케이블이 고정 되어 있지 않아 문제가 생긴것이다. 모든 정비의 기초는 부속품의 제자리 장착에서 시작된다. 특히나 케이블은 고정된 자리에 고정된 존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낸다.


불편했던 점. 안좋았던 점. 꼭 기억해야 할 것!



궁금한 것. 의문사항. 이해안가는 것!
반응형

'자전거 이야기 > 자전거 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전거 정비교육 8일차  (0) 2013.03.15
자전거 정비교육 7일차  (0) 2013.03.14
자전거 정비교육 5일차  (0) 2013.03.09
자전거 정비교육 4일차  (0) 2013.03.08
자전거 정비교육 3일차  (0) 201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