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전거 이야기/자전거 정비

자전거 정비교육 5일차

반응형
자전거 정비교육 5일차

1주차 마지막 교육날이자 지난 4일간 오늘만 기다린것 같다. 왜냐하면 오늘 수업 끝나면 주말이니깐,,,ㅎㅎㅎ 좀 쉬고 싶기도 하고 흠흠...
점심시간 지나고 부터 몸에 기운이 없더니 수업이 끝나갈 쯤에는 몸에 힘이 하나도 없었다. 긴장이 풀린건지 고시원에 돌아와서 퍼져버렸다. 역시 집나오면 개고생인가? 몸관리도 좀 해야겠다.
5일차에는 자전거 조립을 마무리 하고 그 동안 조립해온 자전거를 전체적으로 점검 받았다. 40점 만점에 34점을 맞았다. 안장 센터 불량, 앞 변속기 초기세팅 불량, 브레이크 패드 정렬 불량, 암 텐션 불량, 큐알레버 위치 불량.....
다음 주에 바뀐 자전거로 다시 실습 점검을 받은 후 10일차에는 실제로 실기시험을 본다고 한다. 시험이라니깐 빡 긴장된다. 열공!!
고시원에 돌아오는 길에 르벨로를 들렸다. 깔끔한 외관과 전체적인 매장 구조 또한 깔끔한 듯 했다. 그런데 느낌이 오지 않았다. 기대를 너무 한 탓일까? 유명 의류 브랜드 매장 느낌 거기까지였다. 의류 매장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말그대로 자전거 판매점. 사실 자전거 판매점으로서는 뛰어난데 뭔가 흥미가 생길만한 것이 없었다. 매장에서 자전거 구경말고 라이더를 재밌게 해줄 뭔가가 있었으면 좋겠다. 체험 공간, 체험 소비,,, 그리고 매장에 반하는 미케닉룸,,, 아,,,


배운 내용!

강의책 258쪽~265쪽
Part11. 앞/뒤 변속기 케이블 세팅, 전체 점검

*변속기 세팅 순서
변속기 세팅을 할 때는 뒷 변속기 먼저 세팅한 뒤 앞 변속기를 세팅해야 한다.
왜냐하면 뒷 변속기의 간격을 기준으로 앞 변속기를 세팅하기 때문이다.

*변속기 세팅을 하기전 변속기의 케이블을 풀어야 한다.
그래야 가이드 풀리나 플레이트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세팅이 끝난 뒤 다시 고정해야 한다.


뒤 변속기 초기 세팅
뒤 변속기에 있는 두 개의 조절 볼트는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드레일러가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을 이용해 케이블이 연결되기 전에 변속기가 있어야 될 위치를 잡아준다. 

*정방향 변속기의 초기 세팅이란,
하이 볼트를 조절해 스프라켓 최고단 코그(제일 작은 코그)의 바깥 면과 가이드 풀리의 중심이 수직(일직선)이 되도록 정렬을 맞추는 것을 말한다. 

*역방향 변속기의 초기 세팅이란,
로우 볼트를 조절해 스프라켓 최저단 코그(1단, 제일 큰 코그)의 중심과 가이드 풀리의 중심이 서로 수직(일직선)이 되도록 정렬을 맞추는 것을 말한다.

* 체인의 롤러를 보면 가이드 풀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1.  체인을 앞 뒤 가장 작은 크기의 톱니바퀴에 위치시킨다.(역방향은 뒤 체인이 큰 톱니바퀴에 위치)

2. 드레일러의 케이블을 풀어준다.

3. 볼트를 조정해 초기 세팅-1을 한다.(위에 초기 세팅 참고)

4. 드레일러의 케이블을 연결한다.
케이블 연결전 변속 레버를 작동해 케이블이 완전히 풀렸는지 확인한다.

5. 케이블 스트레칭
케이블이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잡아당기며 변속 레버의 기어를 넣었다 풀었다 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3~4회 이상 해준다. 스트레칭을 끝낸 후 기어를 완전히 풀어준 후에, 케이블 고정 볼트를 풀어 케이블을 자연스럽게 당겨 고정볼트에 고정시킨다.

6. L조절 나사 조정(초기세팅-2)
제일 큰 스프라켓으로 이동이 자연스럽게 되고 떨어지는 작동도 제대로 되는 조절을 끝낸 다음 L조절 나사를 가장 큰 스프라켓 중심과 변속기 가이드 풀리의 중심과 일치하게한다. 위의 과정이 정확하다면 이 작업은 그냥 드라이버로 나사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다가 살짝 저항을 받는다는 느낌이 들 때 멈춰주면 된다.

7. 배럴 조정
초기 세팅을 정확히 했는데도 불구하고 변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케이블 장력의 미세 조정을 통해 변속율을 개선할 수 있다. 케이블 장력은 드레일러에 있는 배럴을 이용해 조정한다.

8. 비 텐션 나사의 조절
이 작업은 거의 할 일이 자주 발생하지 않지만 가끔 위의 모든 조절을 정확하게 해냈는데 특정 기어 위치에서 변속이 원활하지 않을 때나 풀리와 톱니바퀴가 만나서 부딪히는 경우 실시한다.

* 초기 세팅을 한 이후에는 배럴 조절만으로도 변속율 조정이 가능하다.


앞 변속기 초기 세팅

* 앞 변속기 세팅은 뒤 변속기 세팅이 끝난 후에 진행한다.

1. 기어의 위치
먼저 뒤 변속기의 기어를 1단(제일 안쪽 코그, 제일 큰 코그)쪽으로 위치시키고 앞 변속기는 1단(제일 안쪽 체인링)에 위치한 상태에서 초기 세팅을 진행한다.

2. 드레일러의 케이블을 풀어준다.

3. 로우(L)볼트 조정
두 개의 볼트 중 먼저 로우(L)볼트를 조절하여 변속기의 안쪽 가이드와 체인의 안쪽 면이 서로 닿지 않게 최대한 가까운 간격이 되도록 볼트를 조절한다.

4. 케이블 연결
로우 볼트 조절이 끝났으면 드레일러의 케이블을 고정볼트에 고정시킨다. 앞 변속기의 변속 방식은 두 가지인데 탑풀 방식과 다운풀 방식이 있다. 탑풀 방식은 케이블이 위로 당겨져 변속이 되고 다운풀 방식은 아래로 당겨져 변속이 된다. 변속이 되는 방향을 확인하고 케이블을 고정시킨다. 케이블이 당겨지는 반대 방향으로 연결하면 변속이 되질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

4. 케이블 스트레칭
앞 변속기 케이블도 뒤 변속기와 같이 스트레칭을 해준다. 스트레칭이 끝나면 케이블을 자연스럽게 당겨 고정 볼트에 고정시킨다.

5. 하이(h)볼트 조정
로우(L)볼트 조절이 끝났으면 뒤 변속기의 기어를 최고단 코그(제일 바깥쪽 코그, 제일 작은 코그)쪽으로 위치시키고 앞 변속기는 최고단(제일 바깥쪽 체인링) 체인링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하이(h)볼트를 조절하여 변속기의 바깥쪽 가이드와 체인의 바깥쪽 면이 서로 닿지 않게 최대한 가까운 간격이 되도록 볼트를 조절한다.
*체인링이 3장일 경우, 1-1단 2-1단 2-최고단 3-최고단 순으로 볼트를 조정한다. 이때 중간 체인링은 볼트로 조정하지 않고 변속기 레버에 달린 배럴 나사로 간격을 조정한다.

6. 배럴 조정
*초기 세팅을 정확히 했는데도 불구하고 변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케이블 장력의 미세 조정을 통해 변속율을 개선할 수 있다. 케이블 장력은 변속 레버에 있는 배럴을 이용해 조정한다.


유용했던 것. 좋았던 점. 꼭 기억해야할 것!

브레이크 암 텐션 조정
텐션 볼트를 시계 방향으로 잠그면 스프링의 반발력이 강해져 브레이크 암이 벌어지고, 볼트를 풀면 림에 가까이 붙는다. 브레이크 암이 한쪽만 움직여서는 안 된다. 양쪽 텐션을 조정하여 브레이크 암의 센터를 조정한다.
ex) 림 한쪽에 브레이크 패드가 붙어있다면?
붙어있는 쪽의 텐션 볼트를 조여서 장력을 증가시켜 브레이크 암이 벌어지게 한다.
혹 텐션 볼트가 어느 정도 조여져 있는 상태라면 반대편의 텐션 볼트를 풀어준다. 반대편의 텐션 볼트가 강하게 조여져 있기 때문이다. 

변속 레버의 간격은 일정하다.
변속 레버를 누를 때 더 깊이 눌러야 변속이 된다면 이는 변속 레버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케이블의 장력이 느슨한 것이다. 변속 레버는 일정한 간격으로 움직이게 설계 되어 있다. 케이블 고정볼트가 풀려 케이블이 움직이거나 새 케이블의 경우 느슨해 지기 때문에 변속 레버 조정시 이상을 느낄 수 있다. 이때는 케이블이 풀리지 않게 고정볼트를 더 조여주거나, 케이블 스트레칭을 통해 케이블을 늘려주는 작업을 해야 한다.


바이크클리닉 자전거 조립 점검표 (체크리스트 만들기!)

1. 타이어 / 튜브
타이어 조립, 공기압

2. 안장 / 시트 포스트 조립
포스트 방향, 포스트 고정, 센터, 안장각도

3. 앞 변속기 조립
장착, 초기세팅, 케이블 장력, 변속율

4. 뒷 변속기 조립
장착, 초기세팅, 케이블 장력, 변속율

5. 헤드셋 / 포크 조립
조립 상태, 유격, 조향성

6. 핸들 스템 / 핸들바 조립
토크값, 클램프 간격, 센터, 부품 정렬

7. 앞/뒤 브레이크 조립
패드 정렬, 레버 간격, 센터, 암 텐션

8. 체인 길이, 조립
체인 길이, 장착 상태, 체인핀 연결

9. 휠 장착
장착 상태, 큐알 레버 강도, 큐알 레버 위치

평가
안전성, 정밀도


불편했던 점. 안좋았던 점. 꼭 기억해야 할 것!

궁금한 것. 의문사항. 이해안가는 것!
바이크 클리닉의 자전거 조립 점검표에 크랭크와 bb 항목이 없는 이유는??
반응형

'자전거 이야기 > 자전거 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전거 정비교육 7일차  (0) 2013.03.14
자전거 정비교육 6일차  (0) 2013.03.12
자전거 정비교육 4일차  (0) 2013.03.08
자전거 정비교육 3일차  (0) 2013.03.07
자전거 정비교육 2일차  (0) 2013.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