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전거 이야기/자전거 정비

자전거 정비교육 2일차

반응형
자전거 정비교육 2일차

둘째날은 이론 교육보다는 실습 교육을 주로 했다. 어제 교육에 이어 헤드세트 분리, 포크 분리, 크라운 레이스 분리, 스프로킷 분리, 타이어 튜브 분리, 안장과 시트포스트 분리, 크랭크와 BB를 분리 했다. 오후시간의 대부분은 크랭크와 BB를 분해하고 조립하는 실습을 몇 차례 반복했다. 반복한 이유는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크랭크와 BB의 종류가 많다보니 다른 종류의 크랭크와 BB를 분해하고 조립하기 위해서 였다. 그렇다 보니 2일차 수업은 크랭크와 BB 수업이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다. 종류가 많은만큼 분해 순서나 방법등을 잘 숙지해야 겠다. 혼동해서 잘못 조립하면 그야말로 멘붕이다.

강의책 74~82쪽, 128~163쪽
Part4. 자전거 분해, 크라운 레이스 분리 ~ 안장/시트 포스트 분리
Part10. 크랭크 / bb 분해ㆍ조립

12. 크라운 레이스 분리

13. 스프로킷 분리

14. 타이어와 튜브 분리
*주걱을 삽입하기전 충분히 타이어를 주물러 비드의 자리를 안쪽으로 오게 만든다.
*밸브 반대편부터 주걱을 삽입한다.

15. 크랭크와 BB 분리
크랭크는 일체형과 분리형이 있다.
BB는 카트리지 타입, 어드저스터블 타입, 일체형 BB타입, 캐논데일 SI 홀로그램 타입, 캄파놀로 울트라토크 타입이 있다.
각 타입형마다 분해와 조립 순서가 다르니 유념해야 한다.

*크랭크 분해시 왼쪽 오른쪽 순서는 없음(단 어드저스터블이나 일체형은 왼쪽에서 먼저 분해, 오른쪽에서 먼저 조립, BB와 같음)
*BB 분해시 왼쪽(논드라이브)부터 분해한뒤 오른쪽(드라이브)을 분해해야 한다. 조립은 오른쪽부터.
*자전거의 앞 방향(헤드)에서 바라봤을때 볼트를 아래로 내려야 풀린다고 이해하면 쉽다. 반대일 경우에는 조인다고 이해하면 쉽다.

16. 안장과 시트 포스트 분리


part10. 크랭크 / bb 분해ㆍ조립

크랭크 세트 분해

1. 스레드 캡이 없는 8mm 고정 볼트 크랭크
*육각 렌치와 크랭크 암 탈착 전용공구를 사용해 분리한다. 볼트를 분리하면 사각 스핀들이 보인다.

2. 스레드 캡이 없는 할로우테크 15mm 고정 볼트 크랭크
*어댑터와 크랭크 암 분리공구가 필요하다. 고정 볼트를 분리하고 나면 원형 할로우 테크 스핀들이 보인다.

3. 스레드 캡이 있는 크랭크
*캡 안쪽에 고정되어 있는 볼트만 풀어주면 크랭크가 분리된다.

bb 분해 및 조립
카트리지 bb, 어드저스터블 bb, 2003 할로우테크1 일체형 bb, 2006 할로우테크2 일체형 bb, 캐논데일 si 홀로그램 크랭크 bb(프레스핏), 캄파놀로 울트라 토크


유용했던 것. 좋았던 점. 꼭 기억해야할 것! 
포크를 분해하다가 실수를 했다. 포크를 손으로 받치지 않고 분해해서 포크가 쿵하고 바닥으로 떨어졌다. 잘못 했으면 발등이 찍혔을 것이다. 포크를 손으로 받치지 않은것도 실수이고, 애초에 콤프레션 링의 분해를 잘못 했다. 콤프레션 링의 갈라진 부분을 송곳이나 얇은 드라이버를 사용해 옆으로 젖히면 콤프레션 링과 포크가 쉽게 빠지는데 테두리 부분을 드라이버로 내리치는 바람에 바로 떨어지는 포크를 대비하지 못했다.

요령! 요령이 필요하다.
다음 작업단계(순서)를 미리 예상(생각)하고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포크를 분해할 때, 즉 손이 부족할 경우 무릎이나 다른 사람에게 도움 요청 혹은 바닥에 대고 분해를 하면 된다.

불편했던 점. 안좋았던 점. 꼭 기억해야 할 것! 
분해하고 조립할 수 있는 크랭크와 BB수가 제한적이어서 다른 사람이 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점이나 교육 시간이 끝나면 못하는 점? 하지만 다음날에도 실습을 진행하기 때문에 크게 문제 되지는 않는다.

궁금한 것. 의문사항. 이해안가는 것!
프레임 교체시 헤드컵 세트도 분리 후 이식??
반응형